■ 사주팔자의 구성

원국 原局이란 태어날 때 주어진 명으로, 사주팔자를 말한다.
원국표는 연주, 월주, 일주, 시주로 이루어져 있고 (四柱)
각 주는 천간과 지지로 나뉘어 총 8글자로 되어있다. (八字)
이를 四柱八字라고 하며, 본인의 원국표(만세력)는 다양한 사주 어플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명리학에서의 사주 해석의 큰 변화는 중국 북송 시대 이전과 이후로 나눌 수 있다.
그 이전은 태어난 해와 달을 중요시하는 당사주 중심이었으나,
북송시대 서자평 이후 현재의 일간 중심의 해석 방식으로 변하게 되었다.
일간은 나를 이루는 가장 중심으로, 이를 통한 판단은 인간사에 대한 정확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일간의 해석은 그럴 가능성이 많다,라는 경향성을 의미하며,
이것만을 통해 사주 전체를 판단하는 것은 우매한 일이다.
한 가지의 개별적인 요소만으로 사주팔자 전체를 판단할 수는 없다.
나머지 오행과 합충등의 작용을 거친 후, 본인의 대운과 세운을 보며 다시 한번 판단을 해야 한다.
일간은 '본원'으로 그 중심이 된다는 점은 분명하나,
모든 요소가 복합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일간만으로 한 사람의 운명을 설명할 수 없음을 명심해야 한다.
■ 본인 일간으로 사주 분석 방법
① 만세력에서 본인 사주를 찾는다.
② 본인 사주의 일간 자리 (노란색)에 있는 한자의 설명을 참고한다.
1. 甲木 갑목

곧게 뻗은 나무이며, 말라죽은 나무이다.
일간이 갑목인 사람의 특징은 소나무처럼 크고 곧으며 명예 지향적이고, 주저함이 없다는 점이다.
갑목은 공부를 잘하고, 자기 확신이 강하다.
명예 지향적이라는 것은 평판에 민감하다는 뜻이고,
학문에 애정이 있다기 보다는 남에게 창피를 당하기 싫어서라도 공부를 잘한다.
갑목이 조직의 리더일 경우, 온화하고 측은지심이 많기에 수평적 리더십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갑목의 리더십은 급박하고 결정적인 순간에 판단이 꼭 늦는 경향이 있으며,
요란하게 일을 벌이나, 매번 별로 신통치 못한 결과를 얻는 것이 갑목의 특징이다.
태산명동서일필, 유시무종이 갑목의 키워드이다.
태산이 큰 소리를 내며 흔들렸으나 정작 나온 건 쥐 한 마리.
이들의 계획과 시작은 늘 화려하고 멋있으나, 끝은 항상 아쉽다.
갑목이 2개 있는 갑갑병존의 경우, 자신을 드러내는 갑목이 2개가 있다 보니
생이별수가 있고, 큰 사고를 당할 수 있으며 고독하고 외롭다.
그러나 이별이라는 것을 꼭 부정적인 것으로만 볼 수 없다.
헤어짐이 있으면 만남이 있고, 상실 후에 새로운 생성이 이루어진다.
갑목은 현침살로서 뾰족한 것을 다루는 직업이 좋다.
2. 乙木 을목

풀과 같은 작은 식물이며, 덩쿨과 같은 나무이다.
일간이 갑목인 사람과 을목인 사람은 겉으로는 비슷해 보이지만 조금 다르다.
일간이 갑목인 사람은 명예 지향적이고 다소 실속이 없는데 반해, 을목은 수수하지만 실속파이다.
온유하고 섬세한 을목이 일간인 사람은 10개의 천간 중 가장 눈에 띄지 않는 성격일 수 있다.
남들보다 항상 주목받지 못하여 이에 대한 컴플렉스나 고민이 있을 수 있으며
그에 대한 문제를 본인 안에서 찾는 성향이 있다.
을목은 고민을 나누고 주변의 도움을 받기보다는, 자기 혼자서 해결하거나 처리하려고 한다.
겉으로 보기와 달리 실제로는 자립심이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을목이 일간인 사람은 외로움을 느끼기 쉽다.
을목이 2개 있으면 을을병존으로 인덕이 부족하고, 주변에 사람이 있어도 외로움을 느낀다.
그러나, 외로움을 꼭 부정적으로 볼 수는 없다.
이를 원동력 삼아 평생의 본인 기량을 쌓을 수 있다.
끈기와 성실성이 필요하고 타인의 도움 없이 혼자 작업을 하여 결과를 만들어내는 업을 가지면 유리하다.
을이 3개가 있는 삼병존(乙乙乙)은 특별히 복덕수기라고 불리며, 최고의 명예에 오르는 사주이다.
3. 丙火 병화

태양, 용광로와 같은 큰불이다.
화는 적극성과 활동성이 큰 에너지이다.
일간이 병화인 사람은 사교적이고 친화적이며, 모든 일을 남들 앞에 나서서 하는 경우가 많다.
병화의 기운이 큰 사람은 좋은 뜻이듯 나쁜 듯이든 삶에 변화가 많고 사건 사고가 계속적으로 일어난다.
병화가 2개 붙어 있으면 병병병존으로 광역역마가 있어
일찍이 고향을 떠나거나, 떠나는 편이 좋고 활동적이고 움직임이 많은 직업이 좋다.
한 위치에서 매번 같은 사람들만 만나는 직업을 가지면 우울증이 생길 수 있으니
주말에 여행이라도 많이 다니는 것이 좋다.
병화 일간이나, 사주 내 병화가 많은 사람은 얼굴이 둥글고 시원시원하게 생긴 미남미녀가 많다.
4. 丁火 정화

촛불, 달과 같은 작은 불이다.
정화 일간의 사람은 밝은 성격을 가진 사람이 많다.
정화 2개가 붙어있으면 정정병존으로 인덕이 부족하고, 외로움을 느낀다.
주변에서 도움을 많이 못 받는 경우가 많은 박복한 사주로,
남의 도움을 받으려고 하기보다는 스스로 노력하여 이를 극복하여야 한다.
이들의 장점은 인상이 좋은 경우가 많으며
얼굴이 갸름하고 오목조목하게 생긴 미남미녀가 많다.
5. 戊土 무토

들판과 같은 넓은 평야이다
일간이 무토인 사람은 자존심과 고집이 세며, 속을 쉽게 알기가 어렵다.
강한 토의 기운으로 자기 확신과 안정감이 있다.
강한 리더쉽은 무토의 특징으로, 될 때까지 밀어붙이는 리더쉽의 소유자이다.
무토가 리더로 있는 조직은 좋은 결과를 내지만,
그 조직의 팀원은 힘들고 그 성과는 많은 사람들의 희생으로 이루어짐을 알아야 한다.
무토 2개가 붙어있으면 무무병존으로 역마이며, 해외 역마로 활동적이고 해외를 왕래하는 직업이 좋다.
유학, 이민을 가거나 무역, 외교 등에 종사하면 좋다.
무무병존인 사람은 스케일이 큰 사람으로,
어릴 때부터 사고를 쳐도 다른 아이들과 다른 큰 사고를 치는 경향이 있다.
무무병존인 본인 자신은 호기롭게 살 수 있으나, 본인 자식이나 배우자가 무무병존이면 삶이 고달플 수 있다.
무토 일간인 사람은 넓은 곳을 좋아하며, 복잡한 악세서리는 잘 맞지 않는다.
6. 己土 기토

정원 같은 작은 땅이다.
소극적이지만, 땅이기에 안정적이다.
자신을 지키는 힘이 있으며, 본인과 본인 가족을 방어하고 배려하며 연대감을 잘 조성한다.
기토가 일간인 사람은 세상을 넓게 보지 못하고, 본인이 경험한 대로만 세상을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기토 일간인 사람과 무토 일간인 사람은 서로 함께 있는 것이 좋다.
둘 사이는 좋지 않을 것이나, 무토는 기토에게 더 큰 세상을 보여줄 수 있고
기토는 무토에게 본인의 근거지를 어떻게 유지하는지 알려줄 수 있다.
기토 2개가 붙어있으면 기기병존으로, 역마가 있긴 하여도 좁은 지역의 역마이며 정적인 직업이 어울린다.
기토 일간인 사람은 작은 악세서리를 좋아한다.
7. 庚金 경금

큰 바위, 큰 쇠와 같다.
일간이 경금인 사람은 의지가 강하고, 자기과시적인 경향이 있다.
이들의 자기과시성은 병화보다 훨씬 강하다.
병화는 현재의 모습만을 과시한다면,
경금은 본인의 미래나 계획을 과시하며, 이들의 과시는 확고한 의지가 동반되어 무시하기 어렵다.
아무리 되지 않을 것 같은 일도, 경금이 결심하면 기어이 해낼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경금 2개가 붙어있으면, 경경병존으로 전국역마이다.
8. 辛金 신금

작은 칼, 보석과 같은 작은 금속이나 돌덩이이다.
신금이 일주인 사람은 자기주장이 강한 편이다.
신금 2개가 붙어있으면 신신병존으로, 삶에서 어려운 일을 반드시 겪게 된다.
예전에는 신신병존이 있는 남자는 배우자로 꺼렸으나, 요즘에는 꼭 그렇지는 않다.
신금은 현침살로, 뾰족한 것을 가지고 하는 직업이 좋다
9. 壬水 임수

바닷물 호수와 같은 큰 물이다.
일간이 임수인 사람의 특징은 상상력과 통찰력이 뛰어나다는 점이다.
자신을 통제할 수 있고, 자신에 대한 통찰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몽상과 상상에 빠져 현실감이 떨어지는 사람도 많다.
임수 2개가 붙어있으면 임임병존으로, 신살 중 도화가 가장 강하다.
타인에게 받는 사랑과 인기를 바탕으로 하는 직업이 좋다.
이는 꼭 연예인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인기 스타 강사 등 사람들의 인기를 기반으로 하는 직업이 어울린다.
10. 癸水 계수

안개, 작은 물이다
일간이 계수인 사람은 온화하고 여린 심성을 지니고, 상상력이 뛰어나다.
성격이 여리고 인정에 치우칠 가능성이 많아
돈을 많이 벌기는 힘든 사주이다.
계수 2개가 붙어있으면 계계병존으로, 성격이 매우 여성스럽다.
임임병존에 비해 여리고 착한 스타일로 도화기 때문에 인기를 기반으로 하는 직업이 적성에 맞다.
사주연구소海林亭
'사주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접 보는 사주 ⑥] 용신 찾는 방법 (조후용신법, 억부용신법, 전왕용신법, 병약용신법, 통관용신법) (1) | 2022.08.01 |
---|---|
[직접 보는 사주 ⑤] 신강, 신약 사주 파악하는 방법 (0) | 2022.08.01 |
[직접 보는 사주 ④] 육십갑자 (六十甲字)로 보는 방법 (0) | 2022.08.01 |
[직접 보는 사주 ③] 육친이란? 육친으로 본인 사주 보기 (0) | 2022.08.01 |
[직접 보는 사주 ②] 오행으로 보는 본인 사주 (1) | 2022.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