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친의 의미
육친六親은 음양오행의 상생, 상극 관계를 바탕으로 구성된 것으로, 육친론은 사주 명리에서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육친 六親, 육신 六神, 십신 十神 은 모두 같은 말로,
한 사람의 심리와 적성, 적절한 타이밍과 그 사람을 둘러싼 주요한 인간관계를 파악할 때
가장 먼저 확인하는 부분이다.
육친을 제대로 읽어낼 수 있으면 부모, 배우자, 형제 등의 인간관계와
재물, 학업, 부동산 등의 사회적 관계 등을 폭넓게 해석할 수 있다.
* 본 글에서는 본인의 육친을 분석하여, 본인의 타고난 사주의 성격과 사회성을 읽어내도록 하겠다.
누구든지 쉽게 본인 사주를 직접 볼 수 있도록 가능한 한자는 지양하여 한글로 풀어내고자 하였으나,
한자는 그 뜻을 함축하는 경우가 많아 추가 설명을 하고자 한다.
예시로 보는 육친

일간(노란색 표기) 은 1편에서도 언급한 것과 같이 '나'를 의미하는 중심 부분이며,
육친은 이 일간을 기준으로 5개로 나뉜다.
① 비겁 ② 식상 ③ 재성 ④ 관성 ⑤ 인성
이렇게 나뉘는 기준은 오행의 상생상극이며, 일간의 오행과 나머지 7자의 오행에 따라 배속되게 된다.
상생상극 원리를 잠시 설명하자면,
木火土金水 (목화토금수) 각 5가지 오행은 아래 표와 같이
서로서로 생하기도 하고 극하기도 하는 관계에 있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木(목)'을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水(수)는 木(목)을 생한다 (물은 나무에게 물을 주어 자라나게 한다)
- 木(목)은 火(화)를 생한다 (나무는 자신을 태워 불을 살린다)
- 木(목)은 土(토)를 극한다 (나무는 뿌리로 흙을 붙잡는다)
- 金(금)은 木(목)을 극한다 (쇠는 나무를 자른다)
이렇게 목은 어떤 오행을 생하기도 하고, 생함을 받기도 하며
극하기도 하고, 극함을 당하기도 한다.
이렇게 5가지 오행은 각각의 다른 오행과 상생상극 관계를 맺는다.
그러나, 생하거나 극하는 오행의 한쪽이 과다하면, 상생상극 원리가 적용되지 않는다
목은 화를 생하는 관계지만, 목이 너무 많으면 화를 생하지 못한다.
(→ 나무가 너무 많으면 불이 붙지 않는다)
화는 토를 생하는 관계지만, 화가 너무 많으면 토를 생하지 못한다
(→ 불이 너무 세면, 흙을 메마르게 하고 굳게 한다)
토는 금을 생하는 관계지만, 토가 너무 많으면 금을 생하지 못한다
(→ 흙이 너무 많으면, 금이 파묻혀 보이지 않게 된다)
금은 수를 생하는 관계지만, 금이 너무 많으면 수를 생하지 못한다
(→ 바위 사이로 물이 흐르지만, 바위가 너무 많으면 흐르지 못하고 썩어버린다)
수는 목을 생하는 관계지만, 수가 너무 많으면 목을 생하지 못한다.
(→ 나무에 물을 너무 많이 주면, 나무는 뿌리가 썩어 죽는다)
이렇게 오행의 상생상극의 원리에 따라
8자 중 일간을 제외한 나머지 7글자에 각각의 육친이 배속되게 되는 것이다.
육친 구분방법
① 일간과 오행이 같으면 '비겁'
② 일간이 생하면 '식상'
③ 일간이 극하면 '재성'
④ 일간을 극하면 '관성'
⑤ 일간을 생하면 '인성'
이렇게 5가지로 배속이 되며, 여기에 추가적으로 음양에 따라 각각 2가지로 세분화된다.
여기에서도 일간을 중심으로 배속되며, 일간의 음양과 나머지 7글자의 음양이 같은지 다른지에 따라 나뉘게 된다.
이렇게 총 10가지 유형이 되어 십신 十神으로도 불린다.
① 비겁: 비견 (음양 =), 겁재 (음양 ≠)
② 식상: 식신 (음양 =), 상관 (음양 ≠)
③ 재성: 편재 (음양 =), 정재 (음양 ≠)
④ 관성: 편관 (음양 =), 정관 (음양 ≠)
⑤ 인성: 편인 (음양 =), 정인 (음양 ≠)
본인 육친의 구성은 위와 같이 오행을 하나씩 보며 확인할 수 있으나,
간단하게 사주 어플을 활용하는 방법을 추천한다.
내가 보통 사용하는 어플은 만세력 천을귀인 어플이다.
생년월시를 넣으면 아래와 같은 만세력이 나온다.
한 사람의 사주팔자를 예를 들어 설명하자.
1980년 5월 15일 낮 12시에 태어난 김땡땡이라는 사람의 사주이다.

이렇게 사주팔자가 나오게 되고, 무토가 일간인 김땡땡이라는 사람의 사주가 나온다.
여기에서 육친은 한자 위아래에 적혀있는 한글을 보면 된다.
김땡땡은 비견 1, 상관 1, 식신 2, 정인 1, 정재 1, 편인 1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볼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본인의 육친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파악했으면
각 육친의 특징을 통해 본인 사주를 조금 더 세밀하게 읽어 낼 수 있다.
자신의 성격과 적성을 찾아내어
지금 다니는 직장에서 힘든 이유가 무엇인지, 가족, 부부관계의 갈등의 이유가 무엇인지
조금 다른 시선에서 문제를 더 정확히 볼 수 있을 것이다.
각 육친의 의미와 특징은 표로 하기에 간략히 정리해 두었으며,
세부 사항은 그 내용이 방대하므로 후속 편을 통해 하나씩 기술하도록 하겠다.
■ 육친별 성격 및 특징
1. 비견
2. 겁재
3. 식신
4. 상관
5. 편재
6. 정재
7. 편관
8. 정관
9. 편인
10. 정인
사주연구소 海林亭
'사주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접 보는 사주 ⑥] 용신 찾는 방법 (조후용신법, 억부용신법, 전왕용신법, 병약용신법, 통관용신법) (1) | 2022.08.01 |
---|---|
[직접 보는 사주 ⑤] 신강, 신약 사주 파악하는 방법 (0) | 2022.08.01 |
[직접 보는 사주 ④] 육십갑자 (六十甲字)로 보는 방법 (0) | 2022.08.01 |
[직접 보는 사주 ②] 오행으로 보는 본인 사주 (1) | 2022.07.30 |
[직접 보는 사주 ①] 일간으로 보는 본인 사주 (1) | 2022.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