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신이란
用神 용신은 자신의 사주팔자에 가장 필요한 오행이라고 할 수 있다
용신의 용은 한자 쓸용을 쓴다.
즉, 나를 더 잘 쓰이게 하는 기운이 되는 것이다.
사주를 볼 때 용신을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기도 하며,
여러 요소를 봐야 하지만 분명 용신은 일주와 더불어 굉장히 중요하다
전체적으로 사주를 보며 희용기구한을 찾는다
用神 용신 내 사주에 가장 필요한 오행
喜神 희신 용신을 생하는 오행
忌神 기신 용신을 극하는 오행
仇神 구신 기신을 생하는 오행, 희신을 극하는 오행
閑神 한신 한가로운 오행
용신을 찾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사주 전체를 보아 사주에 가장 필요한 오행을 찾는
조후용신법, 억부용신법, 병약용신법, 통관용신법, 전왕용신법 등이 있으며,
격국에 따라 용신이 정해진다고 보는 격국용신법이 있다.
이들은 각각 사용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 함께 보기도 한다.
좋은 사주는 용신을 보기가 쉽다.
용신을 보기가 애매한 사주는 중간 정도의 사주이고, 간혹 나쁜 사주에서는 용신이 안 보이는 경우도 있다
용신 찾는 방법 5가지
1. 調候 조후용신법
調候의 한자를 해석하면 기후를 고르게 한다는 의미가 된다. 즉, 계절에 초점을 두어 분석한다.
추운 사주는 따듯하게 해주고, 더운 사주는 시원하게 해주는 것이 기본 원리이다
이렇게 조후용신은 음양오행을 기본으로 한다
사주명리학은 기본적으로 절기력에 바탕하여, 입춘, 입하, 입추, 입동으로 나눈다.
봄은 木, 여름은 火, 가을은 金, 겨울은 水이다.
아침음은 木, 낮은 火, 저녁은 金, 밤은 水이다.
목화는 더운 오행이고, 금수는 차가운 오행이다.
사주팔자의 연월일시에서
월지는 1년의 계절의 변화가 나타나고, 시지는 하루 동안의 기후 변하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조후용신을 찾는 방법은
더운 여름에 태어나면 차가운 물이 필요하고
추운 겨울에 태어나면 따스한 불이 필요하므로, 그것을 용신으로 삼는 것이 기본이다
2. 抑扶 억부용신법
출처 입력
한자 그대로 해석하면 抑 억제하고, 扶 돕는 것을 찾는 것이다.
즉, 사주에서 내 편의 힘과 다른 편의 힘을 따진 후,
힘이 강한 것은 억제시키고, 힘이 약한 것을 도와주는 오행을 용신으로 정하는 것이다
억부용신법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신을 정하는 방법이다.
가장 먼저 사주가 신강한지 신약한지를 판단하며, 득령, 득지, 득세를 고려한다
1. 득령 : 월지가 일간을 도와주는 경우
2. 득지 : 일지가 일간을 도와주는 경우
3. 득세 : 일간을 생해주거나 같은 오행이 많은 경우
이렇게 3가지를 파악하여
본인의 사주가 신강, 중화, 신약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보면 된다
득령에는 조금 더 가중치를 두고 계산한다
신강사주 (득령, 득지, 득세를 한 경우)에는 용신은 식상, 재성, 관성이 된다
1. 비겁이 다수면 관성이 용신이 될 확률이 높고
2. 비겁, 인성이 다수라면 재성이 용신이 될 확률이 높으며
3. 인성이 다수인 사주 (인다신약)은 식상이나 재성을 용신으로 삼는 경우가 많다.
신약사주 (실령, 실지, 실세를 한 경우) 에는 용신은 인성, 비겁이 된다.
신약하다는 것은 자신의 힘이 약하고, 이를 뺏어가는 형국이 된다
즉, 식신, 재성, 관성이 많게 된다
1. 식상이 다수라면 인성이 용신이 될 확률이 높고
2. 재성이 다수라면 비겁이 용신이 될 확률이 높다
3. 관성이 다수라면 인성이나 비겁이 용신이 되는 경우가 많다
용신이 천간에 투간되고, 지지에 통근해 있을 때 좋은 사주로 본다.
사주에 용신이 없거나 잘 안보이는 사람은, 뚜렷하게 하는 일도 되는 일도 없다
용신이 오면 재물운, 성공운이 높아지며, 특히 귀인이나 길신이 더해지면 만사형통하다.
용신이 잘 들어와 있는 사람은 용신의 색상을 본인에게 활용하면 좋고,
용신이 잘 들어오지 않은 사람은 기신의 색상을 활용하면 좋다
3. 專旺 전왕용신법
전왕용신법은 한가지 오행에 편중되어 있는 상황에서 적용하는 경우이다
보통 6개 이상으로 보며, 한 오행이 6개 이상이면 그 오행을 용신으로 삼는다
4. 病藥 병약용신법
병약용신법은 사주에 병들어 있는 오행을 치료해주는 오행, 즉 약이 되는 오행을 용신으로 하는 것이다
병이 있고 약을 얻으면 귀한 사주이다
병도 없고, 약도 없으면 평범한 사주이다
병이 있고, 약을 구할 수 없으면 흉한 사주이다
병이라는 것은 특정오행이 지나치게 많은 太過태과일 경우나, 지나치게 적어 不及불급한 경우이다.
또한, 용신이 본인의 역할을 제대로 못하는 경우 병으로 본다.
5. 통관용신법
사주 내 오행이 서로 대립할 경우, 그 사이를 통하여 주는 것을 용신으로 잡는 방법이다
'사주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접 보는 사주 ⑤] 신강, 신약 사주 파악하는 방법 (0) | 2022.08.01 |
---|---|
[직접 보는 사주 ④] 육십갑자 (六十甲字)로 보는 방법 (0) | 2022.08.01 |
[직접 보는 사주 ③] 육친이란? 육친으로 본인 사주 보기 (0) | 2022.08.01 |
[직접 보는 사주 ②] 오행으로 보는 본인 사주 (1) | 2022.07.30 |
[직접 보는 사주 ①] 일간으로 보는 본인 사주 (1) | 2022.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