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 및 수행

금강경 사경 효과 및 방법

해림정 2022. 7. 27. 20:20
반응형

 

 

사경의 의미

사경은 기도와 수행의 한 방법이며,

삶을 밝고, 바르고, 행복한 방향으로 나아가게 하는 거룩한 불사이다.

사경을 함으로써 눈으로 보고, 입으로 외우고, 손으로 쓰고, 최종적으로 마음에 새길 수 있다.

 

금강경 효과

금강경은 상을 비우고, 마음을 비워

무량한 복덕을 갖춘 원래의 자리로 되돌아가게 만드는 대승불교의 경전으로

금강경을 사경하고 독경하여 그 뜻을 나의 것으로 만들면

한량없는 가피가 저절로 찾아들어 업장 참회는 물론이고, 간절한 소원성취가 가능하다.

 

소원성취 방법

작은 소원이라면 사경 3번정도면 그 발원을 이룰 수 있을 것이지만,

여러 경전에서는 21번을 사경의 기본 단위로 권장한다.

과거, 현재, 미래에 쌓는 108번뇌의 업 중에서 현생의 36번뇌를 녹이는 것을 목적으로 36번을 쓰기도 하며,

지중한 원이 있을 경우에는 108번을 사경할 것을 권한다.

 

 

■ 금강경 사경 방법

 

1. 먼저 3배를 올리고 삼귀의를 한다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거룩한 승가에 귀의합니다

 

2. 기본적인 축원을 3번 진행한다

시방세계의 충만하신 불보살님이시어,

세세생생 지은 죄업 모두 참회합니다.

이제 금강경을 사경하는 공덕을

선망조상과 일체 중생의 행복을 위해 바칩니다.

아울러 저희 가족 모두가 늘 건강하옵고,

하는 일들이 다 순탄하여지이다.

 

3. 꼭 성취하고 싶은 소원을 축원한다

사경 발원문을 작성하여, 지속적으로 발원한다.

 

4. 개법장진언을 3번 염송한다

옴 아라남 아라다

 

5. 나무금강반야바라밀경을 3번 외운다

경의 제목은 그 경전의 핵심을 함축하고 있고,

그 공덕이 매우 크기 때문에

꼭 3번씩 염송한다.

 

6. 사경을 한다

사경을 할 때,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글자만 쓰게 되면 감동이 없을 뿐 아니라,

공덕이 크게 떨어진다.

스스로 뜻을 새기고 이해를 하며 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잊지 않는다.

 

처음부터 끝까지 끊임없이 써내려가야 할 필요는 없다.

금강경을 사경하다가 특별히 마음에 와 닿는 구절이 있거나,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으면

다시 한번 쓰거나 읽으면서 그 뜻을 이해하기 위해 사색에 잠기는 것도 좋다.

이렇게 사경을 하게 되면 그 내용이 차츰 나의 것이 되고,

그 가르침이 나의 것이 되면 업장참회와 무량공덕이 생겨난다.

 

7. 금강경 사경 발원문을 3번 읽는다.

 

8. 3배를 드린 후, 사홍서원을 하며 마무리한다.

중생을 다 건지오리다.

번뇌를 다 끊으오리다.

법문을 다 외우오리다.

불도를 다 이루오리다.

반응형